● 새로운 길을 개척 ‘세계를 선도’
한국 경제는 지난 수십 년간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이 성장은 교육열과 추격형 산업화 전략에 힘입은 바가 크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이런 전략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글로벌 경제 환경이 급변하고 기술 혁신의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단순히 선진국의 모델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이제 한국은 ‘탈추격형’ 경제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위치에 서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성, 혁신성, 그리고 도전 정신이 필수적이다. 한국의 가장 큰 자산인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이러한 전환을 이루어내는 것이 절실하다.
창의성 교육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기존의 주입식,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아이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질문 중심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교사와 부모는 답을 바로 주기보다 아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실험과 체험 중심의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이론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직접 체험하고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 과학, 예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직접 참여하고 배우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즉, hands-on 활동을 장려함으로써 아이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융합형 교육의 중요성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여러 학문 분야를 연결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도입하고, 과학과 예술을 결합한 STEAM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복잡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고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시도와 실패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실패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는 미래의 혁신가들이 도전적인 과제에 주저 없이 뛰어들 수 있는 용기를 길러줄 것이다.
협업 능력 개발도 창의성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다. pixabay.com
|
협업 능력 개발도 창의성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다. 팀 프로젝트와 그룹 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능력을 키우고,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글로벌 시대에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다.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훈련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정해진 답이 없는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게 하며 브레인스토밍, 역발상 등 다양한 사고 기법을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복잡한 현실 세계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창작 활동을 장려하고, 코딩, 3D 프린팅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이다.
글로벌 시각을 함양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제 교류 프로그램, 온라인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다.
실험과 체험 중심의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이론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직접 체험하고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 pixabay.com
|
마지막으로 개인의 관심사와 재능을 존중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표준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개인의 관심사와 재능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다양한 방과 후 활동과 동아리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아이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런 창의성 교육은 가정, 학교,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실현 가능하다. 부모와 교사들도 창의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아이들의 다양한 시도를 격려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정부 차원에서도 창의성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교사 교육,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이를 지원해야 한다.
한국의 미래는 이제 얼마나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혁신을 이루어내느냐에 달려있다. 인적 자원 개발을 통한 창의성 교육은 한국이 추격형 경제에서 탈추격형 경제로 전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를 선도하는 진정한 선진국으로 거듭날 수 있으리라.
원본 기사 보기:
모닝선데이